의약품 부형제에 포비돈 PVP 적용

의약품 부형제로서 PVP는 정제 및 과립제의 결합제, 주사제의 공용매, 안정제, 액상제제의 분산제, 코팅막 형성제 및 색소분산제, 공침제 등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불용성 약물, 안과용 지연작용제, 윤활제.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Povidone product diagram

l, 바인더:

정제는 생산, 운송, 포장 및 판매 과정에서 불가피한 충격과 마찰을 받을 때 깨지지 않고 양호한 물리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기계적 강도를 가져야 합니다. 동시에 복용 시 만족스러운 성능 특성을 가지며 소화관에서 빠르게 분해되어 약물을 방출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는 이상적인 바인더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강한 결합력, 인체와의 우수한 상용성, 위의 요구 사항을 완벽하게 충족하는 PVP의 강력한 용해력을 갖춘 습식 과립, 건식 과립 또는 직접 정제 공정 제조 여부에 관계없이 다양한 약물 정제에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흡습성이 높은 약물의 경우 PVP를 다른 분말과 건식 혼합한 후 과립화하는 동안 적절한 용매로 적실 수 있습니다. PVP를 사용하면 자유롭게 흐를 수 있는 압축성 입자를 생성하는 데 도움이 되어 용해도가 강한 단단한 정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정제의 PVPK30의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2~5%이며, 사용 농도는 일반적으로 0.5~5%입니다. PVPK90의 결합 용량은 강력하고 복용량은 약 1-3%로 작습니다. PVP의 높은 용해도와 조절 가능한 점도는 과립화 용액의 부피를 줄여 건조 시간과 비용을 줄입니다.

PVP는 물과 에탄올과 같은 유기용매 모두에 용해되기 때문에 PVP는 실제로 대부분의 처방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Chlormadinonum, Nitroglicerinum, Acidum Acetylsalicylicum 등과 같은 물에 민감하고 열에 민감하고 휘발성이 있는 약물의 경우 PVP 알코올 용액을 사용하여 과립을 형성하면 안정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 온도도 낮춰주며, 건조 시간을 단축하고 약품의 품질을 보장합니다.

(1) 습식 재료 바인더

다양한 PVP 품종과 사양은 다양한 과립화 및 필름 제조 공정에 적합하며 새로 얻은 정제의 특성도 다릅니다.

습식 펠렛 접착제는 처방전을 "접착성"으로 만들어 압축성과 유동성을 향상시킵니다. 이는 정제의 물리적 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정제의 생체 이용률 및 효능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포비돈 시리즈 제품은 습식 과립화에 선호되는 효율적인 접착제입니다.

(2) 직접정제 및 건조재료 접착제

직접 압착 및 건식 과립화는 정제 생산에서 점점 더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건식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더 나은 압축성 충전재 또는 충전재로 구성됩니다. 이는 활성 성분의 결합 능력을 향상시키고 정제 중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대부분의 충전재 접착제는 어느 정도 정제 붕괴제 역할도 합니다. 제제에 고용량의 약물이 포함되어 있거나 충진 접착제의 접착 특성을 향상시키는 경우. 이러한 경우, 특히 직접 압착할 경우 접착제는 미세하게 분쇄되어야 하며 이상적인 분산을 보장하기 위해 특히 우수한 분말 흐름을 가져야 합니다.

2. 공침전제

난용성 및 불용성 약물의 용해도, 용해 속도 및 생체 이용률을 향상시키는 것은 제약 연구 및 생산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입니다.

효능이 좋은 약물은 많지만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아 생체 이용률이 떨어집니다. 일부 수용성 담체를 사용하여 약물을 공침시키면 약물의 용출 정도와 용출 속도를 향상시키고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며 복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 공침전물은 작은 분자(게스트)를 포함하는 폴리머(캐리어)이며, 특정 모양, 크기 및 특정 모양, 크기 및 구조의 큰 분자(주로 폴리머) 공간에 채워진 적절한 작은 분자 약물입니다. "고체 용액"에 의해 형성됩니다.

약물-PVP 공침전에 대한 연구는 1960년대에 시작되었습니다. Tachibarla는 PVP를 사용하여 B 카로틴의 용해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B 카로틴의 수분산액을 제조했다고 처음 보고했습니다. 그리세오풀빈, Lixue 및 PVP의 공침전물의 용해도, 용해율 및 흡수율에 대한 후속 연구가 문헌에 자주 보고되었습니다.

PVP 분자의 카르보닐과 불용성 약물 분자의 활성 수소 원자가 수소 결합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약물 분자는 비정질이 되어 완전히 수용성인 PVP 거대 분자에 들어가 불용성 작은 분자의 결정 형성과 성장을 억제합니다. 약물이 불포화되어 불용성 약물의 용해도가 크게 향상됩니다. 예를 들어, 페니토인은 난용성 약물로 일반적으로 유효 혈중 농도(10-15μg/ml)에 도달하지 못하지만, PVP로 형성할 경우: 5를 공침시킨 후 용해된 배지 내 페니토인의 농도를 PH=1.2는 페니토인보다 2.3배 높으며, 경구 투여 후 2시간 이내에 유효혈중농도에 도달할 수 있고, 도달할 수 있는 최대혈중농도는 2배 이상 증가한다.

인돌 알칼로이드 모르폴린의 물에 대한 용해도와 용해율은 매우 낮으며, 30℃에서의 용해율 상수는 0.023min-1이지만, 1:5의 PVP 공침물은 10분 이내에 용해도를 38배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또한 용해속도상수는 130배 증가하여 2.99min-1에 도달하였고 PVP 농도는 0.6×10-3m 증가하였고 용해도는 1×10-3m 증가하였다. 이는 각 PVP 분자가 모르폴린과 수소결합하는 분자의 수가 일정하고, PVP의 상대적 함량이 증가할수록 결합된 상태의 모르폴린 분자의 비율이 증가하여 용해도가 향상되기 때문이다.

레세르핀의 용해 속도는 결정 크기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6~30μm의 결정의 용해 속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297~420μm 결정의 6~7배. PVP가 PVP와 공침되면 입자 크기가 작아질 수 있으므로 PVP와 레세르핀 자체를 혼합한 경우보다 레세르핀과 PVP 공침물의 용해도 및 용해율이 더 높습니다. 그리고 PVP의 비율이 클수록 용해도와 용해 속도가 빨라집니다. 1:3 공침물과 l:6 공침물(입자 크기 297~420μm)의 용출률은 세르핀(입자 크기 6~30μm)에 비해 15배, 200배 높았으며, 용출 반감기는 7, 0.5, 106배였다. 분.

PVP와 트리메토프림(TMP)의 공침은 TMP의 용해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공침물, 순수 TMP, PVP 및 TMP의 기계적 혼합물의 용해 시험에서는 PVP와 TMP(3:1)의 공침물이 가장 빠르게 용해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침전물의 약물 용해 속도는 또한 다음 실시예에 예시된 바와 같이 PVP 대 약물의 중량비를 변경하여 조절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클로헥실우레아 아세테이트와 PVP의 공침 시스템은 PVP 함량이 70% 이상에 도달할 때 시클로헥실우레아 아세테이트의 무정형 분산을 보장하여 신속한 용해 목적을 달성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약물은 다음으로 인해 용해 속도를 감소시킵니다. 결정화 상태의 형성 및 증가. 예를 들어 PVP와 그리세오풀빈의 중량비율을 20:1에서 5:1로 줄이면 용출속도도 점차 감소한다. PVP:SF의 중량비를 20:1에서 3:1로 줄이면 SF의 용해율은 점차 높아지지만, PVP의 양이 0으로 줄어들면 용해율은 가장 낮아진다.

PVP의 중합도를 변경하면 공침전물의 약물 용해 속도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PVP의 중합도가 증가하면 약물 용출률은 감소한다. 예를 들어, ST, SMZ 및 STZ는 각각 PVPK15, PVPK30 및 PVPK90과 공침전물을 형성하고 이들의 용해 속도 V는 다음 규칙을 따릅니다: VK15>VK30>Vk90, 디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설파티아졸, 클로람페니콜과 같이 PVP와 함께 형성된 기타 공침전물, 푸로세미드, 디곡신, 클로로티아지드, 하이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손 등도 이 규칙을 따르지만 니트로페니리딘과 페니토인은 예외입니다.

불용성 약물의 용해도 및 용출률이 증가하면 위장관 흡수율 및 혈중 약물 농도가 증가할 수밖에 없으며, 약물의 생체이용률도 증가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인체 실험에서는 페니토인-pvp 공침전물의 생체 이용률이 투여 후 처음 10시간 동안 1.54배, 2.3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PvP의 생체 이용률이 18.5배 증가했습니다.

 

3, 공용매 또는 분산 안정제

이전 섹션에서 언급한 공침전물에서 PVP의 가용화 효과는 주로 정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저분자량 ​​PVP(K 값 12,15,17)는 주입 시 공용매 분산제 또는 결정 성장 억제제로 작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가용화 효과는 주로 약물과 PVP의 결합에 의해 발생합니다.

주사 또는 액체 제제에서 공용매 또는 안정제인 PVP에는 옥시테트라사이클린, 테스토스테론, 독시사이클린, 프로게스테론, 설파티아졸, 에틸스틸베스트롤, 알로푸리놀, 푸라노타존, 탈지 대두 레시틴, 디페닐헥신, 사이클로헥산 아미노설포네이트 등이 있습니다.

분말주사제에는 미국 머크, 샤푸, 다우케미칼사의 리팜피신, 화이자의 독시사이클린 등이 PVP에 추가된다. 중국에서는 Bizouping 주사를 위한 용매 강화제로 2% PVP를 사용했습니다. 주사용 클로람페니콜 현탁액에 PVP를 첨가한 경우 입자의 미세도가 5μm 미만이었습니다.

경구 또는 국소 액상 제제에서 PVPK25 및 K30의 용해 효과에 대한 많은 예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PVP는 프로테아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액체에서 설탕의 결정화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일부 불용성 성분은 수용액에서 침전되며 PVP를 추가하여 극복할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제제 중 하나가 파라세타몰 시럽인데, 이는 PVPK25로 약물의 용해도를 높이고 쓴맛을 줄여준다.

PVPK25, K30 및 K90은 경구 및 국소 약물 분산액(예: 아시코비어)에서 안정제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부프로펜; (마갈라레이트); 니스타틴; 페니토인; 트리메토프림; 설폰아미드; 항생제, 아이싱 분산액 등이 있습니다. PVPK90과 PVPP의 조합은 종종 매우 우수한 안정화 효과를 나타냅니다.

4. 코팅제 또는 필름형성제

약물필름 코팅제에 PVPK25, K30을 첨가하면 PVP의 높은 접착력으로 인해 약물 베이스에 대한 코팅제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산성이 우수하여 코팅 현탁액의 안정성을 높이고, 색소의 재결합과 이동. PVP의 우수한 피막 형성으로 인해 건조 시 코팅 표면의 미세한 균열도 방지됩니다. 그러나 수용성 PVP는 흡습성이 쉽고 공기 중에서 끈적거림으로 인해 단일 필름 형성제로 사용할 수 없으며 셀룰로오스 유도체, 메타크릴산, 수지 및 기타 필름 형성제와 혼합되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알코올을 함유한 안료 분산액은 쉘락과 PVP로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스프레이 및 유동층 코팅 장비에서 균일한 코팅을 얻을 수 있으며, 피막 형성제의 물에 대한 용해율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5, 지연제, 서방제

약물의 제어 방출은 약물의 작용 시간을 연장하고 약물의 작용 강도를 제어하는 ​​새로운 기술입니다. PVP는 많은 약물과 분자 결합을 갖고 있기 때문에 PVP와 약물 사이의 결합 정도를 조절하면 체내 약물의 방출과 흡수를 연장시켜 효과를 지연시키고 방출을 느리게 할 수 있습니다. 이 효과는 적절한 분자량과 농도를 선택하여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낮은 농도의 PVP는 Hydroflumethiaziclum의 용해를 연장하는 반면, 높은 농도의 PVP는 용해 속도를 크게 증가시킵니다. PVP는 파라세타몰룸의 용해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용해 속도도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용액의 점도가 증가함에 따라 파라세타몰의 용해도가 감소하고 PVP의 분자량과 농도가 모두 용액의 점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PVPK17, K30 및 K90을 사용하여 각각 1:9 파라세타몰 분산액을 제조했습니다. 그 결과, PVPK17과 PVPK30의 용출 속도는 비슷한 반면, PVPK90의 용출 속도는 가장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PVP가 콜레스테롤 및 호르몬 약물의 용해율에 미치는 영향도 PVP의 함량과 관련이 있습니다. PVP는 전자의 용해도를 감소시키고 테스토스테론, 프로게스테론, 디에틸아민-에틸스틸베스트롤 등과 같은 후자의 용해도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감소 또는 증가 값은 PVP의 농도에 비례합니다.

페니실린(Berlzyperlici¨num), Chloramphenicdum, 인슐린(Insulinum), 나트륨 살리실산염, 설파티아졸, 페노바르비탈룸 및 프로필 프로카이넘, 코르티소눔, 파라미노벤조산, 파라세타몰룸에 대한 10-25% PVP 용액의 효과는 모두 지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

6. 안약 첨가제

안약에 일정량의 PVP를 첨가하면 약물의 용해도를 높이고 눈에 대한 약물의 자극을 감소시키며 피막 형성을 증가시키고 점도를 향상시키며 점안제의 작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습니다. PVP는 친수성이며 윤활효과가 있어 인공눈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량은 2~10%), 특히 콘택트렌즈 착용에 적합합니다.

Extrapharmacopeia Edition 28에는 2년 동안 유효한 PVP 안약 처방전 2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수입 콘택트렌즈에는 소독제, 윤활제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PVP가 함유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속형 아이필름의 국내 시범 생산에서 모공 유발제로 방출 제어층에 PVP를 첨가했는데, 이는 EVA와 잘 상용될 수 있어 아이필름이 더욱 매끄럽고 부드럽습니다.

7, 캡슐 흐름 보조제

캡슐 충전 기계로 약물을 충전하는 과정에서 가벼운 분말이 발생하고 비용적이 작은 경우 1~2% PVP 에탄올 용액을 첨가하여 과립화를 돕고 흐름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VP는 사이클로만델레이트, 프로필피라민, 하이드록시에틸 피라민산 및 에틸 파파린 지속형 캡슐을 포함한 경질 캡슐의 유동 보조제로 해외에서 사용되었습니다. 부드러운 펠릿에 PVP를 적용한 사례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Japan Chemical Pharmaceutical Company의 니트로페니딘 연질 펠릿 제조 시 분산제로 소량의 PVP(2%)를 첨가했습니다.

8. 붕해제

가교포비돈(Crosslinked POvidone)으로 알려진 고도로 가교된 PVP는 불용성 PVP(PVPP)로서 정제나 경질캡슐의 붕해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습식압착 또는 직접압착이 가능합니다. PPVP로 만든 정제나 경질캡슐은 물에 녹였을 때 빠른 수분흡수와 팽창성으로 인해 제제에 높은 스트레스를 주어 제제가 빠르게 붕해되게 됩니다.

관련 뉴스

답장을 남겨주세요

ko_KRKorean